사이드메뉴 닫기 사이드메뉴 열기
검색
홈페이지 검색
내일의 꿈을 그려갑니다 : 창의융합 및 인성 교육을 선도하는 최우수 초등교원 양성 대학
HOME >대학생활 > 편의·복지 > eduroam서비스

eduroam서비스

eduroam 소개, 서비스 개시

eduroam 소개

'eduroam' 은 전 세계 69개국, 11,492곳의 대학, 연구소 등 교육연구기관이 참여하는 '글로벌무선로밍서비스'의 이름입니다.

eduroam 서비스 개시
  • 공주교육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AP에 'eduroam' 이라는 SSID를 2015년 8월 1일부터 이용 가능합니다.
  •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테블릿 등에서 WiFi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접속 가능한 AP에서 제공되는 여러 개의 SSID가 나타나는데, 그 중에 'eduroam' 이라는 이름의 SSID를 통해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국내/외 대학이나 연구소를 방문하여 WiFi 검색 시, 'eduroam' 이라는 SSID를 발견하면 '글로벌무선로밍서비스' 에 가입된 기관이라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 우리대학 구성원은 'eduroam' SSID를 선택하고, 현재 사용 중인 '학사시스템 ID'와 '학사시스템 패스워드'로 인증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단말기에 한번 설정하여 저장된 경우 포털 패스워드가 바뀌지 않은 이상 매번 인증과정을 반복할 필요는 없습니다.
  • 해외 출장이 많은 구성원 분들께는 매우 유용한 서비스가 될 것입니다.
    ※ 국내 eduroam 서비스 이용가능 대학 리스트 보기(바로가기)

'eduroam' 접속안내

공주교육대학교 교직원과 학생이 eduroam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관에서 eduroam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절차
  • 공주교육대학교 교직원과 학생의 eduroam 서비스 사용을 위한 전제 조건 :
    유효한 학사시스템 계정이 있는 현재 공주교육대학교 교직원 또는 학생이어야 합니다.
  • 공주교육대학교 교직원 및 학생이 아니면서 공주교육대학교의 학사시스템 아이디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교내에서 GJUE_Member SSID를 사용하여 무선 랜을 사용할 수 있고, 타 eduroam 기관 방문 시 eduroam 서비스를 받을 수 없습니다.
  • Windows 8/7/Vista 사용자는 자동으로 와이파이 프로필을 구성하기 위해 아래의 자동환경설정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프로그램을 실행함.
    자동환경설정하기 다운로드

  • ID와 Password를 넣어 인증 받으려면 각각의 운영체제(OS)에 맞게 설정해야 됨.
  • ID는 ‘코드번호+종합학사시스템 ID@gjue.ac.kr’를 입력
  • 구분 코드번호는 교직원 및 외래강사(1), 학부생(2), 대학원생(3)
    ※ ID 입력 예)
    • 교직원의 사번이 20121001일 경우 → 120121001@gjue.ac.kr
    • 학부생의 학번이 20121001일 경우 → 220121001@gjue.ac.kr
    • 대학원생의 학번이 D121401일 경우 → 3D121401@gjue.ac.kr
  • Password는 ‘종합학사시스템 비밀번호’를 입력
    ※ 문의 : 공주교육대학교 정보통신원 041-850-1331~4
다른 대학교의 교직원 및 학생의 경우
  • 귀하의 기관이 eduroam의 참여기관인 경우, 당신은 공주교육대학교 내에서 eduroam 무선 랜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 'eduroam 접속 방법' 에서 설정하는 구체적인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다른 기관을 방문하기 전에 소속 기관에서 단말 설정을 시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사용자 인증 등 로그정보는 eduroam 글로벌 정책에 의해 6개월간 보관됩니다.
  • eduroam visitor를 위한 우리대학의 Guest용 eduroam 서비스는 제한적입니다.
  • 제공되는 서비스 포트 목록은 아래와 같으며, 망 운영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eduroam SSID에 허용되는 포트 현황
 
Type Protocol / Port Type Protocol / Port
DNS UDP port 53 (domain) IPv6NAT UDP port 3653
FTP TCP port 21 (ftp) TCP port 3653
HTTP TCP port 80 (http) ip protocol 41
TCP port 443 (https) IPSec NAT UDP port 4500
TCP port 3128 (webcache) UDP port 10000
TCP port 8080 (http_alt) TCP port 10000
MAIL (send,receive) TCP port 110 (pop3) LDAP TCP port 389
TCP port 143 (imap) LDAPS TCP port 636
TCP port 993 (imaps) RDP TCP port 3389
TCP port 995 (pop3s) VNC TCP port 5900
TCP port 465 (smtps) Citrix TCP port 1494
TCP port 587 (submission) AFS UDP port 7000, 7007
TCP port 406 (IMSP) kakaotalk 5223 tcp
TCP port 220 (IMAP3) smtp 25 tcp
NTP UDP port 123 (ntp) smtp 25 udp
PING IP protocol 1, type 8 (icmp, echo request) ssl 995 tcp
SSH TCP port 22 (ssh) tls/starttls 587 tcp
VPN (pptp,ipsec) IP protocol 47 (gre) ssl 465 tcp
IP protocol 50 (esp) pop3 110 tcp
IP protocol 51 (ah) imap 143
UDP port 500(isakmp) imaps 993
UDP port 4500 (ipsec-nat-t) Sldap 50636 tcp
UDP port 1194 (open vpn) dns 53 tcp/udp
TCP port 1194(open vpn)    
TCP port 1723 (pptp)    
TCP port 10000 (ipsec-over-tcp)    
UDP port 5000-5110    

기타

그 동안의 경과
  • 2012년 04월 : eduroam 현황파악 및 파일럿구축 (전남대학교 정보전산원)
  • 2012년 05월 : 국·공립정보기관협의회 회원대학 설문조사 실시 및 주요사업선정
  • 2012년 07월 : 1차 실무위원회 개최 및 TFT 구성(거점국립대학 7개)
  • 2012년 09월 ~ 10월 : 거점국립대학 등 10개 대학 연동완료
  • 2013년 03월 01일 ~ : 시범서비스 (총 26개 대학 참여, SSID : keduroam)
  • 2015년 4월 15일 : 전남대-KISTI 간 eduroam 서비스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2015년 6월 19일 : eduroam 서비스 런칭

    eduroam 서비스의 국내 운영주체(국가단위 운영주체 : NRO, National Roaming Operator)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이며, '전남대학교' 는 교육(대학)기관 운영주체(RO, Roaming Operator) 역할을 KISTI로 부터 위임받아 '국내 교육기관 운영센터' 역할을 수행 중입니다.